해양연맹소식

‘전쟁의 불길 속에서’ ‘평화의 문턱에서’ ‘결단의 책상’ … 6·25전쟁 직면했던 고뇌의 순간들

2025.06.26

21

전쟁기념사업회 ‘지도자실’ 새단장 
역사적 사실 기반 자문 거쳐 조성

 

전쟁기념관 ‘6·25전쟁 지도자실’에 전시된 ‘트루먼 대통령의 에스터브룩 만년필’.
전쟁기념관 ‘6·25전쟁 지도자실’에 전시된 ‘트루먼 대통령의 에스터브룩 만년필’.



전쟁기념사업회는 6·25전쟁 75주년을 맞아 2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2층 ‘6·25전쟁 지도자실’을 새단장했다.

6·25전쟁 지도자실은 6·25라는 국가의 운명이 걸린 비상상황 속에서 대한민국과 미국의 두 지도자, 이승만 대통령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직면했던 결단과 고뇌의 순간을 조명하는 공간이다.

전시실은 인트로 공간을 시작으로 ‘전쟁의 불길 속에서’ ‘평화의 문턱에서’ ‘결단의 책상’이라는 세 개의 존(zone)과 아웃트로 공간으로 구성됐다. 각 존은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다수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조성됐다.

전시는 북한의 불법 기습남침으로 발발된 6·25 초기, 이승만과 트루먼 두 지도자가 내렸던 고민과 결단, 그리고 전쟁 후반 정전 협상이 논의되던 시점에 두 지도자의 입장 차이와 각자의 선택이 역사적으로 어떤 의미와 무게를 지녔는지 조명한다.


 

2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6·25전쟁 지도자실' 재개관식에서 성일종(맨 왼쪽) 국회 국방위원장과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의 외손자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이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전쟁기념사업회
2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6·25전쟁 지도자실' 재개관식에서 성일종(맨 왼쪽) 국회 국방위원장과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의 외손자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이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전쟁기념사업회



특히 ‘결단의 책상’존에서는 지도자들의 고뇌가 담긴 ‘책상’이라는 상징적 오브제를 통해 지도자의 입장에 서서 결단의 무게를 직접 성찰해 볼 수 있다.

24일 열린 재개관식에는 트루먼 전 대통령의 외손자인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을 비롯해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 윤봉희 국방부 정책기획관, 최윤희 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은 축사를 통해 “조부께서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지키기 위한 결정은 재임 중 가장 무거운 결단이었다고 말씀하셨다”며 “오늘 이 자리에 조부께서 함께하셨다면 민주주의와 자유, 협력과 진보의 가치를 위해 헌신한 분들과 마주한 이 순간을 큰 영광으로 여기셨을 것”이라며 감사를 전했다.

 

출처: 국방일보(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50626/2/ATCE_CTGR_0060010000/view.do)